제주 세화해변과 다랑쉬오름 아시나요

제주 세화해변과 다랑쉬오름 아시나요

728x90

반응형

아도록 한 오름, 팰롱팰롱 바다… 제주의 매력 이 마을에 모여있다.

돌랑돌랑, 팰롱팰롱, 아도록한, 지꺼진 이라는 이름은 제주 구좌읍 세화 마을협동조합에서 운영 중인 숙소의 방마다 붙여진 제주도 방언들이다. 예를 들어보면 ‘아도록 한(아늑한) 방에서 팰롱팰롱(반짝반짝) 눈부신 부신 바다를 보면 가슴이 돌랑 돌랑(두근두근) 거리고 뭔가 지꺼진(기쁜) 일이 생길 것 같다’라는 식으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제주 시내에서 동쪽 성산 쪽으로 이어지는 바닷가에 세화리가 있는데, 쪽빛 바다와 새하얀 모래 등으로 최근 인스타그램에서 성지로 알려지고 있는 카페와 공방, 초록이 싱그러운 당근밭, 그리고 가슴 쓰라린 역사와 해녀 얘기까지 제주의 매력이 모여있는 곳이다.

출처 hankookilbo.com

세화 마을 여행의 시작은 질그랭이센터에서부터

세화리가 세상에 제법 알려지게 된 계기는 한 달에 두 번 열리는 ‘벨롱장’이라는 벼룩시장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2시간 동안만 운영되는 ‘반짝’ 시장으로, 제주 전역에서 판매자가 몰리고 2시간이라는 그 짧은 시간에 무려 3,000명 이상이 다녀가는 분주한 장터였다. 말할 거소 없이 지금은 코로나로 중단된 상태.

세화 마을 여행은 해변 서쪽에 위치하는 질그랭이거점센터에서 출발한다. ‘질그랭이’ 역시 ‘지긋이’라는 뜻의 제주 방언이다. 이 질그랭이거점센터는 뭐랄까... 여행자 센터 역할을 하면서 주민들과 일상을 누리고 채우는 공간이면서 그리고 이곳을 찾는 방문객에게는 편히 머물게 하여 언제든 다시 찾는 명소가 되길 바라는 마음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이 센터 내에는 세화리 사무소, 카페 477+, 구좌주민여행사, 세화 스테이가 1층부터 4층을 구성하고 있다.

2층 '카페 477+'는 마을세(리정세)를 납부하는 477명의 조합원이 참가하여 만든 카페를 의미한다. 리정세라는 세금은 제주에만 있는 제도로 세화리 주민이 되려면 1년에 1만 원씩 3년을 납부해야 조합원 자격이 되고, 이렇게 차곡차곡 모여진 리정세는 마을 공동기금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플러스(+)는 세화리를 찾는 여행자와 새로운 조합원을 위해 비워 둔 마음의 공간이라고~

이름도 재미있고, 리정세라는 것도 흥미 있는데 납부액 또한 귀엽다고 생각된다. 누가 477+라는 이름을 생각해냈는지 모르겠지만 암튼 잘 지었다고 생각된다

출처 hankookilbo.com

질그랭이센터 2층 카페 477+의 오렌지 차, 당근주스, 백향과 에이드.

출처 hankookilbo.com

카페 477+의 당근주스와 감자 빵

세화는 오래전부터 구좌읍의 중심 상권이었었고, 그리고 초·중·고 학교가 모두 있고 생활이 편리해서 외지인들도 꾸준히 정착하였고 지금은 외지인과 토박이 숫자가 엇비슷한 수준이라고 한다.

이주민은 퇴사한 직장인, 갓 결혼한 신혼부부, 농사짓는 청년급 화가 등 다양하다. 이런 배경과 이유랄까 제주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 텃세가 거의 없는 것도 특징이라고 한다.

이 카페의 강추 메뉴는 흔히 생각하기 쉬운 커피가 아니라 당근주스다. 갓 수확한 당근으로 즉석에서 만드는 100% 당근주스다. 단맛을 내는 첨가물을 넣지 않아서 풋내가 날까 싶기도 하지만 의외로 달고 상큼하다.

구좌읍은 이맘때쯤이면 전국 당근의 60% 이상을 생산하는 명실상부한 당근의 고장이다. 겨울 길목에 들어선 요즘도 제주 들판은 여전히 푸릇푸릇하다. 대개는 무가 많지만, 구좌 들판에는 당근밭이 흔하다. 당근주스 외에도 수제 오렌지 차, 백향과 에이드, 감자 빵 등 제주도 농산물로만 만든 먹거리가 메뉴를 도배하고 있다. 세화 여러 공방에서 제작하는 기념품과 생활소품 매장도 카페에서는 소중한 공간이다.

출처 hankookilbo.com

전국 최대 당근 생산지답게 세화 마을에서는 당근밭이 흔하다.

주민여행사가 입주한 3층은 개방된 공유 오피스 형태이다. 요즘 흔히 들을 수 있는 워케이션 공간이다. 가장 인상적인 대목은 카페 오픈 시간 동안에는 무료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직원들에게 절대 눈치를 주지 말 것을 강조하고 있고, 음료 한 잔 시키지 않아도 괜찮다. 이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언젠가는 세화리 발전에 밑거름이 될 거라는 믿음 때문이다.”라고 양군모 마을 PD가 공유 오피스 운영 원칙을 말한다.

주민여행사의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오름, 해녀, 밭담 등 테마별로 주민해설사가 들려주는 구좌읍 12가지의 숨은 마을 이야기를 들을 수 있고 여기다 추천 맛집은 보너스이다.

해변에서 공방까지 세화 마을 한 바퀴

‘세화 마을 스탬프 투어’ 안내장을 들고서 마을 나들이에 나서도 좋을 것 같다. 질그랭이센터에서 나와보면 동편에 바다가 펼쳐지는데, 세화해변은 크지도 작지도 않은 적당한 규모의 해변이다..

용암이 흐르다 굳어버린 검은 현무암들이 가장자리에 흩뿌려져 있고, 그 사이사이를 새하얀 모래가 채우고 있다. 이제 물에 발을 담그기에는 제법 쌀쌀한 날씨지만, 바위와 모래를 오가는 해변 산책만 해도 가슴이 뻥 뚫리는 기분인 든다.

세화 앞바다는 수심이 깊지 않고, 해변으로 밀려들며 얇게 포말을 만드는 파도가 또 세화해변의 매력이기도 하다.

출처 hankookilbo.com

현무암과 새하얀 모래, 코발트빛 바다가 절묘하게 대조를 이루는 제주 세화해변.

출처 hankookilbo.com

제주 세화해변 방파제 끝자락에 세워져 있는 하얀 등대 출처 hankookilbo.com

용천수가 솟아나는 세화해변 돈물 통.

출처 hankookilbo.com

초록색 파도가 밀려들고 있는 제주 세화해변은 수심이 얕아서 해변에서 멀어질수록 하양, 초록, 파랑으로 점점 바다색이 짙어진다.

해변 서쪽 방파제 끝에 세워져 있는 등대는 주로 갈치와 한치잡이 어선 길잡이 역할을 하지만, 쪽빛 바다를 배경에 하얀 등대는 여행자에게 미지의 세계를 꿈꾸게도 해준다.

직사각형으로 담을 쌓은 돈물 통이 2개가 해변 동쪽 끝에 있다. 한라산 중턱에서 땅으로 스며들었다가 해안가에서 솟아나는 용천수인데 이른바 삼다수가 솟는 샘터이다. ‘돈’은 제주 방언으로 ‘달다’라는 뜻이니 세화리 돈물 통은 단물이 솟는 샘인 것이다.

해변 가운데쯤에서 마을로 올라가다 보면 도로 왼편에 넓은 공원이 나온다. 이 언덕에 ‘제주해녀 항일운동 기념탑’이 눈에 들어온다. 1920년경 제주도 해녀어업조합이 조직됐으나 도지사가 조합장을 겸임하는 어용 조합으로 변질되어 횡포가 심했었다고 한다.

이에 해녀들은 관제 조합 반대, 해산물 가격 재평가 등을 요구하면서 1932년 1월 7일과 12일 세화 장날을 이용해 대규모 시위를 벌였었고, 결국 도지사가 요구 조건을 수용하기로 했지만, 일제는 도내 청년 운동가들을 대대적으로 검거하기 시작하여서, 이를 또 저지하기 위해 해녀들의 시위가 다시 이어졌다고 한다.

출처 hankookilbo.com

출처 hankookilbo.com

조업을 나가는 해녀들 모습

제주해녀 항일운동은 238회나 열린 집회 횟수에 17,130명이 참가한 대규모 투쟁활동으로써 제주 3대 항일운동의 하나로 기록되고 있고, 기념탑 옆에는 당시 시위를 주도했었던 세 해녀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세화해변을 따라 약 2 킬로 떨어진 하도리 포구에는 별방진이 남아 있다. 조선 중종 5년(1510) 제주목사 장림이 김녕의 방호소를 옮겨 축성한 진지하고 한다. 하도 앞바다 우도 부근에 빈번히 출몰하는 왜구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시설이었다. 그 당시의 절박함은 사라져 느낄 수 없지만, 높이 2 미터, 약 920 미터 타원형 석축으로 둘러싸인 마을 풍경이 고즈넉해 보인다.

출처 hankookilbo.com

구좌읍 하도리의 별방진 모습

출처 hankookilbo.com

타원형으로 쌓인 하도 별방진에 둘러싸인 마을 풍경

세화리 골목을 이곳저곳 돌아다니다 보면 이 마을에 작은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잡화점과 공방 등을 발견할 수 있다. 요란한 간판이 없어서 일부러 찾지 않으면 스치 지나가기 쉽지만 곳들이지만, SNS를 통해서 제법 소문난 가게들도 많다.

세화 착유소·제분소 옆에 더부살이하는듯한 노란색 간판이 눈이 들어오는데. ‘라이스 나이스’라는 떡 가게이다. 40여 년간 방앗간을 운영해 온 할머니가 만드는 떡을 지금은 손녀가 포장해서 판매하고 있다.

제주 쑥 인절미와 통팥앙금 떡, 절편, 과 보리 개역(미숫가루) 등이 인기 품목이라고 한다. 이 떡가게는 한 때 폐업하려 했었으나 손녀의 아이디어로 다시 활력을 되찾았다고 한다. 문 앞에 동백 열매를 햇볕에 말리고 있는 모습이 보이는데, 꽃이 막 피기 시작하는 요즘이 열매가 많이 떨어지는 시기이기도 하여 동백기름 짜느라 방앗간도 덩달아 바쁜듯하다.

출처 hankookilbo.com

40여 년 이어온 세화 착유소. 바로 옆이 '라이스 나이스'떡 가게

출처 hankookilbo.com

여러 가지 생활 소품을 판매하는 아코 제주 내부 모습

출처 hankookilbo.com

아담한 카페 먹꽃이 피는 숲

이 외에 다양한 생활 소품과 잡화를 판매하는 아코 제주, 감귤껍질·약쑥과 같은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수제 비누와 디저트를 판매하는 오가닉 제주, 동양화 공방과 카페를 겸하는 먹꽃이 피는 숲,

오래 전의 농약 종묘사라는 간판을 달고 그대로 영업 중인 여름 문구사 등도 세화 여행을 한결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동네 가게들이다.

오름의 전형, 다랑쉬오름과 아끈다랑쉬오름

세화라는 지명은 ‘가는 곶’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알려지고 있다. 곶은 제주 방언으로 숲이라는 뜻이다. ‘가는 곶’은 세화해변에서 약 7 킬로 떨어진 아끈다랑쉬오름부터 마을까지 이어지는 가느다란 숲을 말하는데,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곶을 꽃으로 해석하여 ‘가는 꽃’ 세화(細花)가 되었다는 썰도 있다.

마을에서 뒤편 산자락으로 이어지는 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정면에 우뚝 솟은 산봉우리가 보이는데, 이 봉우리가 다랑쉬오름(382미터)이다. 분화구가 마치 달처럼 둥근 모습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아래서는 거대한 봉분처럼 보이지만 정상에 올라보면 깊고 커다란 분화구 모습이 선명하다. 바로 옆의 아끈다랑쉬오름(192 미터)은 새끼 다랑쉬라는 의미라고 한다.

출처 hankookilbo.com

달 모양의 분화구가 선명한 다랑쉬오름.

출처 hankookilbo.com

다랑쉬오름 탐방로에서 보이는 아끈다랑쉬오름.

탐방로는 두 오름 사이에 있는 주차장에서 연결된다. 다랑쉬오름은 경사가 가팔라서 시작부터가 오르막이다. 삼나무 숲 사이 계단을 통과하여 한숨 돌리며 뒤를 돌아보면은 이미 새끼 다랑쉬인 아끈다랑쉬오름보다 높이 올라와 있다는 것을 느낀다.

억새가 빼곡하게 덮인 아끈다랑쉬 풍경은 잘 구워진 파이처럼 보인고 그 너머로는 성산일출봉과 우도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지그재그이기는 하지만 능선까지는 가파른 오르막의 연속이다. 대신 올라갈수록 시야는 더욱 넓고 시원해진다. 주변의 목장과 평야, 제주 동북부의 바다까지 거칠 것 없는 풍경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능선에 당도해보면 기다리고 있는 반전의 풍광이 있다. 분화구의 깊이(115미터)는 미처 예상하지 못한 풍광이며 예상했더라도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한라산 백록담의 분화구와 같고, 산굼부리(132m) 분화구에 이어 두 번째로 깊다고 한다. 분화구 안 경사는 올라온 길보다 더욱 가파르게 보인다. 머릿속에 떠올리는 화산과 오름의 전형적인 모습이랄까?

분화구 위를 한 바퀴 도는 산책로만 약 1,500 미터에 이르러 주변 일대를 두루두루 조망하기 좋다. 능선의 가장 높은 곳을 걸을 때는 시야 정면으로 눈 덮인 한라산이 보이고, 낮은 곳에는 저절로 자라난 소사나무가 군락을 이뤄서 백색의 나뭇가지 터널을 통과하게 된다.

출처 hankookilbo.com

분화구 안이 눈부신 억새 물결 출처 hankookilbo.com

제주에는 아직 억새가 한창이다. 표선면 가시리에 위치한 따라비오름은 분화구와 능선에 억새가 만발하여 가을에 가장 아름다운 오름으로 꼽힌다고 한다. 3개의 분화구와 6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어서 층층이 부드럽게 연결된 능선도 아름다운 모습이다. 높이는 다랑쉬오름과 비슷하지만 경사가 심하지 않아 한결 쉽게 걸을 수 있다. 두 오름 모두 한 바퀴 돌아오는 데에 각각 90분가량 소요된다고 한다.

728x90

반응형

from http://andres3.tistory.com/49 by ccl(S) rewrite - 2021-12-07 06:2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