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오미크론 - 위드코로나 괜찮을까?
오미크론 - 위드코로나 괜찮을까?
출처 구글 오미크론
또다시 등장한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란,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 32개가 발생한 바이러스입니다. 이는 16개의 돌연변이를 보유한 델타 변이보다 그 수가 2배에 달합니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도 델타는 2개에 그쳤으나 오미크론은 10개에 이릅니다. 오미크론은 보츠와나, 남아공 등의 아프리카 남부에서 확산세를 보입니다.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달 26일에 오미크론을 '우려 변이'(variant of concoren)'로 지정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에 튀어나온 돌연변이를 통해 숙주 세포로 침투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감염력과 백신 내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를 처음으로 보고한 남아공 의사 안젤리크 쿠체는 '증상이 특이하지만 경미하다'라고 밝혔습니다.
오미크론은 지난달 9일에 수집된 표본에서 처음 확인되어 24일에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되었습니다. 아프리카 보츠와나와 남아공 등에서 확인되었으며, 남아공 교통의 요지인 가우텡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이후 남아공을 방문 후 돌아간 홍콩인에게도 감염 사실이 확인되어 아시아까지 확산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유럽에서도 벨기에에서 첫 감염 사례가 확인된 지 3일도 지나지 않아 독일, 영국, 네덜란드에서도 감염 사례가 나오며 유럽에서도 오미크론 감염이 확인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상황은?
정부에서는 지난달 28일 남아공 등 8개국의 입국을 제한시켰습니다. 이에 따라서 해당 국가에서 온 내국인들은 예방접종 여부와 상관없이 10일간 임시 생활시설에서 격리 대상이 되었고, 국내 도착 전에 PCR 검사 후 음성 확인서 소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1일 차, 5일 차, 격리 해제 전에 진단검사도 받아야 합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이 달 1일에 나이지리아에서 입국한 40대 부부를 포함한 5명이 오미크론 바이러스에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국내의 첫 오미크론 감염 사례로, 남아공에서 보고된 지 9일 만이었습니다. 또한 부부
여기에 정부는 오미크론의 추가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해 향후 2주간 내국인을 포함한 모든 해외 입국자에 대해 백신 접종 여부와 상관없이 10일의 격리조치를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12월 3일부터 16일까지 해외에서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는 국적이나 백신 접종 여부에 관계없이 10일간 격리됩니다. 또한 PCR 검사는 입국 전후로 총 3회(입국 전, 입국 후 1일 차, 격리 해제 전)를 받아야 합니다.
한편 인천 미추홀구 교회에서 오늘 오미크론 감염 의심자가 발생했습니다. 이 교회는 오미크론에 감염된 우즈베키스탄 국적 30대의 남성과 그의 부인, 장모, 지인 등 3명이 지난달 28일의 예배에 참석한 교회입니다. 이들은 현재 코로나19 확진되었으며 오미크론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가 진행 중입니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남성의 부인, 장모, 지인이 다녀갔던 교회에 추가 확진자 보고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박영준 팀장은 "추가 확진자들이 계속 나올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하였고, "추가 확진자가 증가하면 오미크론 변이 관련해서 시설 내에 집단 감염이 발생한 첫 사례라고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위드코로나 괜찮을까?
이처럼 또다시 코로나19 변이 감염 사례로 인해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에 위드코로나로 인해 추가 감염을 우려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오미크론의 증상, 치사율, 치명률 등에도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국내의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들은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가벼운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오미크론 확진자 역시 경미한 증상을 보이고 회복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이처럼 변이를 거치며 감염력은 높아졌지만 반대로 증상은 완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근거로 아직까지 오미크론 바이러스로 인해 입원 치료를 받거나 사망하는 사람이 나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결국 감기처럼 가볍게 걸리고 지나가는 풍토병처럼 될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출처 구글 오미크론
from http://awatch.tistory.com/2 by ccl(A) rewrite - 2021-12-03 17:2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