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황] 21년 12월 1일 마감 시황 (주식/증권/증시/시황)

[주식시황] 21년 12월 1일 마감 시황 (주식/증권/증시/시황)

728x90

반응형

[마감지수]

코스피

- 마감: 2899.72(▲2.14%)

- 수급동향: 외인 (+9074), 기관 (+909), 개인 (-9963) 단위: 억원

코스닥

- 마감: 977.15(▲1.19%)

- 수급동향: 외인 (+338), 기관 (-79), 개인 (-253) 단위: 억원

[주요 증시 이슈]

증시 한줄평: 산뜻하게 12월 시작

> KOSPI 반등, 외국인과 기관 중심 반발 매수세 유입

> 10년물 국채금리 1.4%대↓& 미국 주요 지수 하락 마감: S&P500; -1.9%, 나스닥 -1.5%

> 파월 의장, 테이퍼링 가속화 필요성 언급

> 애플, 중국 아이폰 판매호조에 3.15% 상승

> 국내 11월 수출 604억4000만달러 기록하며 처음으로 월 600억달러 돌파

> 이더리움, 역대 최고가 재경신

> 반도체, 화학 등 경기민감 대형주 중심 외인 및 기관 자금 유입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 상승: 삼성전자(4.35%), SK하이닉스(2.19%), NAVER(2.36%), LG화학(3.46%), 현대차(2.81%), 기아(4.37%), 셀트리온(2.17%), POSCO(6.13%)

[장중 시황]

- 미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이 매파적으로 해석되며 미 증시 약세. ‘테이퍼링을 아마도 몇 달 더 빨리 마무리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발언을 하며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는 의견을 바꿈. 더하여 테이퍼링의 마무리 시기에 대한 논의는 12월 FOMC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밝힘.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과 함께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우려도 증가. 오미크론 변이로 인해 경기가 또다시 둔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며 투자심리 약화

- 금일 발표된 1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32.1% 상승한 604억4,000만달러를 기록. 우리나라 무역 역사상 처음으로 월간 수출 600억달러를 돌파하였으며 1년 전인 작년 11월 수출은 전년대비 +3.9%를 기록, 코로나19 기저효과가 없음에도 30%대 고성장. 반도체·석유화학·일반기계·철강·컴퓨터 등 주력 품목과 농수산식품·화장품 등 신성장품목이 모두 역대 11월 수출 중 1~2위를 기록

- 한국증시는 파월 연준의장의 테이퍼링 가속화 시사 발언에 불구 오미크론 관련 불안심리가 진정되며 철강, 기계, 운수창고 등 시크리컬업종이 코스피 상승을 견인. 반면, 디지털컨텐츠, 2차전지업종의 차익실현 매물 증가로 코스닥은 하락

[특징주]

1. 소재 업종

- 변종 오미크론 코로나 바이러스 출현으로 수요감소에 대한 우려 증가로 전일까지 소재업종 조정이 두드러졌으나, 유럽 질병센터에서 오미크론 확진자 중 젊은 층은 무증상이나 경미하다는 소식에 소재업종 투자심리 개선. 앤서니 파우치 미국 NIAID 소장은 “전염성과 심각성에 대한 보다 확실한 정보를 얻을 때까지 약 2주가 더 걸릴 것” 발언 등을 감안 추후 오미크론 분석 데이터 발표에 주목

- 11월 4주 싱가폴 정제마진(datastream 기준)은 3.1$로, 10월 7.6$로 고점 이후 급랭 흐름. 다만, 지난 6 ~ 8월, 델타변이 확산 시기에 석유제품 수요가 2달간 -0.5% 정도 감소한 후 다시 복원되었다는 점을 참고

- 11월 4주 NCC업체의 1톤당 스프레드는 315$로, 계속 하락 중. 중국을 중심으로 수요 정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신규증설 부담. NCC 스프레드 300$가 깨지면 아시아 업체 가동률 조정 국면이 시작될 것

- 10월 이후 중국 철강 제품가격 조정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제품가격 하락의 원인을 철강 수급 이슈만으로 설명 어려워. 수요 지표가 부진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에 상응하는 공급 축소(조강생산량 감소)도 일어나고 있어 수급 밸런스가 크게 붕괴된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

-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잦아들고 원료탄 가격 조정이 마무리되는 시기가 철강 제품가격 역시 반등을 꾀할 수 있는 시기로 판단. 중국 원료탄 수급난이 11월부터 완화되며 가격 역시 하락하기 시작. 내년 상반기 중 원료탄 가격이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예상되며 하락 속도에 따라 그 시기가 앞당겨질 여지도 있다고 판단

- 대한유화(+9.97%), 롯데케미칼(+6.95%), POSCO(+6.32%), 동국제강(+4.93%)

2. 마켓컬리 관련주

- 마켓컬리는 지난달 30일 총 2,500억원(주당 10만원) 규모의 프리IPO를 유치하고 주요 주주들에게 관련 사실을 공지하면서 마켓컬리 관련업종 상승. 새벽배송 기업들(컬리, SSG닷컴, 오아시스마켓)이 2022년 상장을 목표로 준비중에 있으며 이중 마켓컬리는 올해를 한달 앞둔 상황에서 대규모 프리IPO에 성공. 프리IPO에 나선 투자자는 글로벌 재무적투자자로 복수 형태가 아닌 단독 투자로 알려졌으며 앞선 시리즈 투자에 참여한 FI가 아닌 신규 투자자. 이번 투자로 컬리의 밸류에이션은 3조7500억원을 인정 받음

- 업계에 따르면 마켓컬리는 지난해 매출액 9,530억원을 기록했으며 올해는 상반기에만 지난해 연간 매출액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짐. 이런 흐름이 연말까지 이어지면 마켓컬리 매출액이 2조원이 될 것으로 추정. 지난 9월 전자지급결제대행업체 ‘페이봇’을 인수하며 자체 시스템 구축을 마치면 내년 상반기 오픈마켓 서비스 시행 예정

- 마켓컬리에 30여가지 품목을 납품하고 있는 흥국에프엔비가 마켓컬리 관련주로 상승. 흥국에프엔비는 카페토탈솔루션 업체로 과일농축액 및 콜드브루, 디저트 등의 사업 진행하고 있음. 11월부터 위드코로나로 전환되면서 카페 영업시간이 12시까지 확대되어 카페들의 매출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4분기 연결 매출액은 183억원(+76.2% yoy), 영업이익은 6억원(흑자전환 yoy, 4Q20 4억원 적자)으로 전망. 10월 말 스타벅스향 RTD음료 2종(핑크용과레모네이드, 스타루비자몽스위트) 신제품 출시 효과와 더불어 올리브영 등 주력채널에서의 테일러팜스 푸룬주스(딥워터) 판매 호조세가 이어지며 큰 폭의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

- 케이씨피드(+12.93%), 흥국에프엔비(+8.17%), 지어소프트(+7.55%)

3. 코로나19 관련주

- 코로나19 신규확진자 5,123명, 위중증 환자 723명으로 역대 최다 인원을 기록.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우려도 증가 중이며 국내 확산 여부도 나이지리아 방문 부부와 지인의 전장 유전체 검사를 통해 금일 저녁 확인할 예정. 오미크론 변이 감염은 일반적 PCR검사에서 바로 확인되지 못하기 때문에 추가 확산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짐.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범부처 TF를 구성하기로 함

- 셀트리온이 전일 자사의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가 유럽시장에 공급을 시작, 유럽 9개국과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히며 강세. 셀트리온은 지난달 15일 공시를 통해 렉키로나의 유럽집행위원회의 최종 판매 허가 획득을 밝힘. 최근 금융위원회의 감리위원회가 조치안 심의에 착수했다는 보도에 주가가 약세를 보였으나 곧이어 금융위원회의 해명 보도를 했었음

- 오미크론 변이 관련, 주요 진단 키트 업체와 관련주가 강세. 넥스턴바이오는 미 자회사 로스비보테라퓨틱스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 개발에 나선나는 소식으로 상승. 셀레믹스는 바이러스 전장 분석 서비스와 다중 호흡기 바이러스 패널이 오미크론 변이 분석에도 적용 가능함이 부각

- 셀트리온(+2.42%), 넥스턴바이오(+8.71%) 셀레믹스(+15.85%)

[주목해야 할 이벤트]

1. (현지시각 12/1 수) 미 11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변화

- 이전치 571K / 전망치 525K

- 물가와 함께 연준의 중요 목표인 고용 현황 확인

2. (한국시각 11/2 목) 한국 11월 소비자 물가지수

- 이전치 3.2%(YoY), 0.1%(MoM) / 전망치 3.1%(YoY), -0.2%(MoM)

-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확대 우려 속에 국내 물가 상황 점검

3. (현지시각 12/3 금) 미 행정부 부채한도 시한

- 부채한도 상향 조정에 난항 시, 15일 이후 디폴트 가능

[World News Today_유안타 투자전략팀 고선영]

■ Powell signals support for quicker ‘taper’ of Fed’s bond buying scheme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지속됨에 따라 테이퍼링 진행 속도를 당초 예상보다 가속해서 종료하는 방안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지난 11월 FOMC에서 발표된 테이퍼링 계획에 따르면 ‘22년 중반 종료가 예상되었던 상황. 12/14~15일 FOMC 예정된 가운데, 테이퍼링 가속 발표 여부에 주목할 필요

■ Yellen Says ‘America Must Pay Its Bills on Time’

-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 연방정부 부채한도 상한 확대가 지연될 경우 경기 회복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미국 의회는 12/3일까지 한시적으로 부채한도를 상향한 상태. 옐런 장관은 해당 기한까지 부채한도 관련 협상이 진전되지 않을 경우 12월 중 연방정부가 디폴트 상태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발언

■ ECB likely to keep buying bonds through 2022; could resume PEPP

- 루이스 데 귄도스 유럽중앙은행 부총재, 유로존 내 경기 회복을 위해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22년 말까지 지속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힘. ‘22년 3월 긴급 자산 매입 프로그램(PEPP)이 종료된 이후에도 PEPP와 유사한 자산매입 프로그램이 재개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와 관련해서는 유로존 전반적으로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는 입장

■ Omicron could hit demand, might not slow inflation-BoE's Mann

- 영란은행(BOE),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이 영국 내 수요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 중앙은행 차원에서 대처하기 이전에 향후 발표되는 전염성 및 백신 효과와 관련한 데이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 12월 통화정책회의 이전 오미크론 변이 전망과 더불어 인플레이션, 공급망 이슈 등 다양한 변수들을 감안해야 한다고 주장

■ China’s Vice Premier Liu Fully Confident in 2022 Growth

- 류허 중국 부총리, ‘21년 연간 경제성장률이 당초 목표치(6%)를 초과해서 달성할 것으로 전망. 중앙정부는 ‘22년에도 거시경제 정책의 연속성과 안전성을 유지해 경제 회복을 지원할 예정. 또한,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중소기업들이 보다 공정한 비즈니스 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시장접근을 확대하고 공정경쟁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방침

■강세테마 : 화학섬유, 석유화학,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반도체 재료/부품, 자동차 대표주, 시스템반도체, 철강 주요종목, 마켓컬리 관련주, 건설 대표주, 해운 등...

■약세테마 : 통신, 일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등...

■석유화학/철강/자동차/정유/해운 등

美 재정정책 가속화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오미크론으로 인해 금융시장이 ‘패닉’에 빠질 가능성은 낮다고 밝힘. 오히려 금융시장이 최근 우려했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는 늦춰지고, 12월 예정된 부채한도협상, 내년도 예산안, 복지 및 그린SOC 재정 정책 등에 대한 합의는 빨라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밝힘.

▷아울러 2022년 상반기는 견조한 수요와 재고 재축적으로 민간 경제가 자생적으로 개선되는 가운데, 합의에 난항을 겪었던 재정정책이 현실화되며 리플레이션 트레이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 경우 추가로 더 하락한 경기민감주는 더욱 매력적으로 여겨지며, 시장의 스타일은 경기민감주 위주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롯데케미칼, 금호석유 등 석유화학, POSCO, 동국제강 등 철강, 현대모비스, 기아 등 자동차, S-Oil 등 정유, HMM 등 해운 등 주요 경기민감주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마켓컬리 관련주

마켓컬리 2,500억원 규모 프리IPO 성공 및 기업가치 확대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기업공개(IPO)를 앞둔 마켓컬리가 2,500억원 규모의 프리IPO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짐. 프리IPO에 따른 기업가치도 지난 7월 2조5,000억원에서 3조7,500억원으로 확대된 것으로 전해짐.

▷지난 시리즈F 투자 유치 기준 당시 밸류에이션으로 책정한 마켓컬리의 상장 후 기업가치는 약 5조원이었으나 이번 프리IPO로 밸류에이션을 50% 확대시키면서 시장에서는 상장 후 기업 가치도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이러한 소식에 케이씨피드, 흥국에프엔비, 지어소프트 등 마켓컬리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중.

■조선/조선기자재

LNG선 수주 신기록 및 신조선가 추가 상승 기대감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10월까지 이미 수주목표를 30% 초과 달성한 한국 조선업은 11월에 그리스 선주들의 LNG선 투기발주를 맞이했다고 분석. 이에 대우조선해양의 BW LNG 2+2척 수주설까지 포함할 경우 올해 한국 조선업의 대형(140k-CBM 이상) LNG선 수주는 57척이고, 곧 사상최대 수주를 기록했던 2018년의 58척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

▷또한, 향후 LNG선 시황에 따라 선박 쇼티지가 연출되고 투기발주한 물량들의 리세일 선가 및 신조선가 상승, 그리고 향후 고수익성 용선으로 연결 지을 수 있다고 분석.

▷삼성중공업은 유럽지역 선주와 245백만불 규모 Crete EGF 드릴십 매매계약 체결 공시. 대우조선해양은 미주 지역 선주와 4,92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0%) 규모 공급계약(LNG 운반선 2척) 및 북미 지역 선주와 1조원(최근 매출액대비 14.3%) 규모 공급계약(LNG 운반선 4척) 체결 공시.

▷이와 관련, 금일 삼성중공업, 현대미포조선, STX중공업, STX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원자력발전

원전 관련 정책 전환 가능성 부각 등에 상승.

▷전일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현재 주요 대선 후보들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입장은 현재 기조를 유지하는 것과 폐기하는 것의 양극단으로 나뉘고 있다며, 대선을 앞두고 원전 관련 정책이 전환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분석. 이와 관련 한전기술에 대해 대선 결과에 따른 국내 신규 원전 건설 및 구체화되고 있는 폴란드 원전 건설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을 반영해 향후 평균 EPS 성장률을 기존 12.2%에서 18.6%로 상향하고 목표주가를 42.3% 상향 조정.

▷이 같은 소식에 한전기술이 급등세를 기록중이며, 일진파워, 서전기전, 한전산업 등 여타 원자력발전 테마도 동반 상승세를 기록중임.

■ 코로나19 관련주/의료기기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및 위중증 환자 역대 최다치 기록 소식에 상승.

▷금일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5,123명(국내 5,075명, 해외유입 48명)을 기록하며 역대 최다치를 경신했고, 위중증 환자도 723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

▷이와 관련,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2차장(행안부 장관)은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병상 가동률이 상승하고 배정 대기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힘. 이어 "정부는 현재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해 12월 중순까지 1,300개 이상의 병상을 추가 확보하겠다"며,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병상 구분을 통해 병상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재택치료를 확진자 진료의 기본원칙으로 삼아 집에서도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덧붙임.

▷이 같은 소식에 진원생명과학, 한국비엔씨, 미코바이오메드, 우정바이오 등 코로나19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또한, 인공호흡기 등과 관련해 메디아나, 씨유메디칼 등 일부 의료기기 테마도 시장에서 부각.

■반도체 관련주

전방업체들의 디램 재고 감소 수혜 및 반도체 특별법 상임위 소위 통과 소식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디램 업황의 다운사이클 구간에서 고객사들로부터의 재고 축적 수요가 미미한 가운데, 1Q22F 비수기 진입으로 인해 디램 가격의 하락폭은 심화될 것이지만(한투 추정치 4Q21 -6% → 1Q22F -10%) 4Q21 비메모리 반도체 칩 공급부족 강도가 조금씩 완화되면서 PC, 서버 세트업체들의 생산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밝힘. 이는 메모리에 대한 세트업체들의 재고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세트업체들의 재고 감소는 메모리 업종에 긍정적이라고 밝힘. 이는 메모리 공급업체들의 재고가 현저히 낮은 수준(1.5주~2주)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고객사들 입장에선 메모리에 대한 재고 축적을 더욱 서두를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될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 또한, 기업향 PC 및 서버 중심의 수요 개선 기대감과 함께 디램 현물가격은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고, 세트 생산 개선으로 세트업체들의 메모리 재고는 감소하며 메모리 업종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업종에 대해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한다고 밝힘.

▷일부 언론에 따르면, 반도체와 코로나19 백신, 2차전지 등 첨단산업 지원을 위한 '반도체 특별법'이 금일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 소위원회를 통과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기획재정부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 핵심 조항에 반대 입장을 고수했지만 여야가 최종 합의하면서 법안은 소위 문턱을 넘어선 것으로 전해짐.

▷반도체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내년 1분기까지 반도체 가격이 D램 시장의 공급 과잉과 비수기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올 4분기 대비 약 10% 정도의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 다만, 내년 2분기 인텔의 사피이어 래피즈 CPU 생산량 확대에 힘입어 DDR5 사용 증가를 예상한다며, D램 가격의 상승 사이클이 다가올 것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램테크놀러지, 아이원스, 테스나, 티에스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내년 업황 개선 전망 등에 상승.

▷신한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내년 국내 통신장비 업종은 올해 대비 업황 개선이 확인될 것으로 전망. 이는 삼성전자-버라이즌 공급 물량 회복, 미국(버라이즌) 외 지역 5G 투자 재개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위드 코로나와 함께 내년부터 미국을 비롯해 인도, 일본, 캐나다 유럽 등지에서 투자가 재개될 수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최선호주로 에치에프알(확정적 수주잔고), RFHIC(버라이즌 4G+방산), RF머트리얼즈(버라이즌 4G), 이노와이어리스(일본향 스몰셀 공급 시작), 차선호주로 기가레인(삼성전자 내 프로젝트 참여 최다, M/S 50%↑)을 제시.

▷이 같은 소식에 이루온, 에치에프알, 기가레인, 텔콘RF제약, CS 등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본격 출하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전일 충남 아산캠퍼스 Q1 라인에서 QD-OLED 양산 기념 출하식을 열고 본격적인 QD-OLED 패널 사업에 나설 것으로 전해짐. 삼성디스플레이는 해당 제품을 삼성전자와 일본 소니 등에 먼저 공급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삼성전자가 내년 1월 초 열리는 세계 최대가전박람회 'CES 2022'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를 탑재한 TV를 처음 공개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음.

▷한편,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OLED TV 시장 규모는 650만대를 기록하고, 내년에는 700만대 중후반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램테크놀러지, 티에스이, 엘오티베큠, 동아엘텍, HB테크놀러지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12월 1일 특징주]

■진원생명과학(011000) : 자회사 VGXI 협력관계 이노비오, 오미크론 대상 백신 연구 시작 소식 속 강세.

▷언론에 따르면, 코로나19 신규 변이 오미크론 확산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동사의 자회사 VGXI와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이노비오가 오미크론 대상 백신 연구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노비오는 최근 코로나19 DNA 백신 후보 ‘INO-4800’과 ‘INO-4802’를 평가하는 데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발표했으며, 동시에 오미크론 특이적 DNA 백신 후보자의 전임상 개발을 시작했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VGXI는 이노비오와 DNA 백신 개발이 진전되는 과정에서 연구개발(R&D;) 과제를 공유해온 것으로 알려짐.

■POSCO(005490) : 지주회사 전환 추진설 등에 강세.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지주회사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철강업을 하는 사업회사와 투자전문 지주회사로 분할한 뒤 지주회사 아래에 사업회사와 주요 계열사를 자회사로 두는 인적분할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짐. 최근 전담 TF(태스크포스)팀을 꾸려 사외이사들과 주요 주주들에게 ‘지주회사 전환 계획’을 설명하고 있으며, 지주회사 전환을 추진하는 것은 주식시장에서 기업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기 위한 것이라고 알려짐.

▷이와 관련, 재계 고위 관계자는 “동사가 12월10일 이사회에서 이 같은 안을 승인한 뒤 내년 1월 임시주총에서 최종 확정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며, “현재 동사는 수소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철강업 이미지가 워낙 강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고 밝힘.

▷아울러 美 재정정책 가속화 수혜 기대감 속 철강주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DL이앤씨(375500) : 9,712.5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12%)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한국토지주택공사와 9,712.5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12%) 규모 공급계약(성남금광1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건설공사) 체결(계약기간:2019-08-19~2022-08-15) 공시.

■LG생활건강(051900) : 과도한 주가 하락 속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분석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주가가 전일 과도한 하락을 보인 가운데, 밸류에이션은 매력적이라고 분석. 이와 관련, 지난 11월 중국 광군제 시기 브랜드 후가 총매출 3,294억원(알리바바+틱톡)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61% 성장하는 등 견고한 수요 대비 현재의 주가 수준은 과도하다고 판단.

▷아울러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2조원(YoY+4%), 영업이익은 2,700억원(YoY+4%)을 기록할 것이며, 부문별 매출성장률은 화장품 4%(면세 flat, 중국 후 +8%), 생활용품 6%, 음료 4% 성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HOLD -> BUY[상향], 목표주가 : 1,450,000원[유지]

■국동(005320) : 바이오젠텍과 코로나19 진단제품 공동개발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진단키트 업체 바이오젠텍과 코로나19 진단용 제품에 대한 공동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코로나19를 진단하는 신규 제품을 개발할 예정이며, 동사의 날숨포집키트와 바이오젠텍의 유전자증폭(PCR)기술 및 항원 진단키트를 활용할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양사는 코로나19 외에도 다양한 호흡기 감염 질환에 대한 진단키트 제품을 개발할 것으로 알려짐.

■LIG넥스원(079550) : 4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및 올해 수주잔고 증가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4분기 매출액은 5,764억원(+18.4%, 이하 YoY), 영업이익은 291억원(+39.0%)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283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코로나19로 인한 인도네시아 무전기 사업 매출 인식 순연에도 인도네시아 무전기 사업 매출 공백은 국내 양산 사업으로 대체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올해 수주잔고는 8.0조원(+10.2%)으로 4개년 연속 수주잔고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방위사업 특성상 계절적으로 4분기에 수주가 몰리며 4분기 예상 수주액은 1.9조원으로 해외 사업 수주시 추가 추정치 상향도 가능하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5,000원 -> 78,000원[상향]

■덕양산업(024900) : 배터리모듈 제조업체 덕양 아메리카 주식 추가 취득 결정에 소폭 상승.

▷미국내 배터리부품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설립한 덕양아메리카의 유상증자 결정으로 덕양 아메리카 주식회사 주식 100,000주를 11.87억원에 추가 취득키로 결정(취득후 지분율:100%, 취득예정일자:2021-12-03) 공시.

■삼성전기(009150) : MLCC 우려 과도 분석 및 호실적 지속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전일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MLCC(적층세라믹콘덴서)의 경쟁력(기술)과 수익성, FC BGA 기판의 성장성, 카메라모듈의 안정성 등 전반적인 체질은 2021년을 기점으로 개선,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연간 영업이익은 2021년 1.52조원(83.4% yoy), 2022년 1.57조원(3.2% yoy)으로 연간 최고치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이어 4분기 일부 가동률 하락을 MLCC 산업의 정점으로 해석하기보단 일시적인 재고 소진 과정으로 판단된다며, 2022년에도 MLCC의 높은 가동률과 수익성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250,000원[유지]

■핑거(163730) : 금융 메타버스 '독도버스' 사전 가입자 3만명 돌파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금융 메타버스 플랫폼 '독도버스'의 사전가입자가 3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힘. 독도버스는 메타버스 환경에 구현된 독도를 배경으로 아바타(고객)가 게임을 하면서 자산을 모으고 이를 투자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금융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알려짐. 아울러 독도버스의 도민권은 NFT가 적용돼 발급되며 도민권은 '독도버스의 도민임을 인증하는 증서'로서 소유권과 거래 이력이 명시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박민수 대표는 "이번 독도버스 프로젝트에는 스마트 금융을 잘 아는 동사와 대규모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NH농협은행', 블록체인 기반 스타트업 '마이크레딧체인'이 힘을 합쳤다며, 앞으로 독도버스를 통해 메타버스에서의 금융 즉 '메타파이낸스(Meta-finance)'혁신을 이끌어 갈 것"이라고 밝힘.

■비덴트/티사이언티픽 : 빗썸 가상자산 거래소 점유율 상승 속 지분 보유 부각에 급등.

▷전일 가상자산 정보제공 사이트 코인힐스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빗썸은 시장 점유율 21.5%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신고서 수리 전인 지난 18일(13.3%) 대비 8.2%포인트 늘어난 수준임. 특히, 금융당국 사업자 신고 수리 직후인 지난 22일 빗썸의 시장 점유율은 27%까지 상승한 것으로 전해짐.

▷이에 금일 빗썸 운영사 빗썸코리아와 지주사 빗썸홀딩스 지분을 각각 10.23%, 34.22% 보유해 최대주주로 있는 비덴트와 빗썸코리아 지분 8.18%를 보유하고 있는 티사이언티픽이 금일 시장에서 부각.

[종목] : 티사이언티픽, 비덴트

■마이더스AI(222810) : 미국 카나비스(대마) 판매점 인수 목적으로 MIM USA,Inc. 주식 59.99억원 규모 추가 취득 결정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미국 현지 자회사 추가투자를 통한 미국 카나비스(대마) 판매점 인수 목적으로 MIM USA,Inc. 주식 5,042,000주를 59.99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2-01-27) 공시.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SA코퍼레이션(최대주주) 대상 7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356원, 전환청구일:2023-02-11 ~ 2025-01-11) 공시.

■코맥스(036690) : 190.18억원 규모 21년 항 포구 고성능 CCTV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국군재정관리단과 190.1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4.58%) 규모 공급계약(21년 항 포구 고성능 CCTV) 체결(계약기간:2021-11-30~2022-07-28) 공시.

■인트로메딕(150840) : 싸이월드 운영사 싸이월드Z 최대주주 등극 소식 속 강세.

▷전일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싸이월드 운영사 싸이월드제트(싸이월드Z)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싸이월드Z의 최대주주로 등극했다고 밝힘. 취득 방법은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한 전환우선주의 취득이며 유증 참여 후 동사 외 특수관계인 1인의 지분율은 약 27%가 될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동사가 보유하고 있는 싸이월드Z의 전환사채권이 전환되는 경우 지분율이 더 확대될 것으로 전해짐.

▷동사 관계자는 싸이월드Z와 함께 싸이월드의 2040 생활형 메타버스로서의 성공적인 시작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힘.

■ES큐브(050120) : 20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속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ES투자파트너스㈜(최대주주의 기타 특수관계인) 대상 2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5,000원, 전환청구일:2023-04-01 ~ 2024-03-30) 공시.

■디지탈옵틱(106520) :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등 대상 309.99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백계승(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등 대상 8,895,265주(30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485원, 상장예정:2021-12-22) 공시.

■파인텍(131760) : 47.32억원 규모 OLED 제조장비 공급 계약 체결에 상승.

▷SAMSUNG DISPLAY VIETNAM CO., LTD.와 47.3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82%) 규모 공급계약(OLED 제조장비) 체결(계약기간:2021-11-30~2022-11-30) 공시.

■인산가(277410) : 120억원 규모 사모 CB발행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삼성증권 주식회사 신탁 등 대상 12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201원, 전환청구일:2022-12-08 ~ 2024-11-08) 공시.

■서전기전(189860) : 중소기업자간 경쟁입찰 참여자격 취소 및 참여자격 취득제한 처분에 대한 집행정지 신청 인용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중소기업자간 경쟁입찰 참여자격 취소 및 참여자격 취득제한(2021.11.1 ~ 2022.04.30, 6개월) 처분에 대한 집행정지 신청 인용 결정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2021년11월17일 서울행정법원에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을 상대로 집행정지신청과 행정처분의 취소소송을 제기하였으며 2021년11월29일 집행정지신청의 인용 결정을 받았다고 밝힘.

▷한편, 동사는 2020년5월에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한국가스공사 발주 배전반 구매입찰 관련 18개 사업자의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건"과 관련하여 시정명령 및 과징금 납부명령 처분을 받은 바 있음.

■원풍(008370) : 9.97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상승.

▷보통주 210,000주(9.97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1-12-02~2022-02-28) 공시.

■리노스(039980) : 5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KB증권 주식회사 신탁 등 대상 5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201원, 전환청구일:2022-12-02 ~ 2026-11-02) 공시.

■얍엑스(060230) : 최대주주 지분 확대 기대감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정정공시를 통해 149.99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 대상을 현재 최대주주인 주식회사 제이와이미래기술컴퍼니로 변경한다고 공시. 유상증자 후 최대주주의 지분율은 기존 6.6%에서 18.16%로 확대될 것으로 알려짐.

▷한편, 신주 발행가액은 1,225원으로 하향되었으며, 신주 상장예정일은 2021년12월15일로 연기되었음.

■메디톡스(086900) : 주당 0.05주 주식배당 결정에 소폭 상승.

▷보통주 1주당 0.05주, 종류주 1주당 0.05주 주식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조비(001550) : 38.59억원 규모 연초전용비료 납품계약 체결에 강세.

▷엽연초생산협동조합중앙회와 38.5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24%) 규모 공급계약(연초전용비료 납품계약) 체결(계약기간:2021-11-30~2022-03-10) 공시.

■대웅제약(069620) : 내년 수익성 개선 전망 등에 상승.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소송 이슈 마무리, 글로벌 사업 다시 본격 가동 예상으로 미래가 밝아 보인다며, 2021년말까지 위식도역류질환제 '가스트로'의 국내 품목승인 발표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아울러 나보타의 성장성을 감안하면 현재 연간 500만 바이알의 생산캐파를 대폭 증설하는 계획을 머지않아 발표할 가능성이 높으며, 내년부터 매출보다 수익성 개선 속도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중장기 주가상승[유지], 목표주가 : 200,000원[유지]

■신성통상(005390) : 최대주주 (주)가나안 동사 주식 장내매수에 상승.

▷동사는 전자공시를 통해 최대주주 (주)가나안이 동사 주식 16만주를 장내매수했다고 밝힘. 이에 최대주주 (주)가나안 외 특수관계인의 보유 지분은 기존 73.18%(105,173,271주)에서 73.29%(105,333,271주)로 증가.

■한라(014790) : 805.85억원 규모 장유삼문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신축사업 수주 속 상승.

▷장유삼문 지역주택조합과 805.8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15%) 규모 공급계약(장유삼문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신축사업) 체결 공시.

■세방(004360) :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에 상승.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1-12-01~2022-11-30, 삼성증권) 공시.

■나이벡(138610) : 다이치산쿄와 NIPEP-TPP 유전자 전달체 연구 본격화 소식에 급등.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일본 다이치산쿄로부터 유전자 약물을 전달받아 신약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힘. 이번 공동 연구 계약은 동사의 ‘NIPEP-TPP 기반 표적 조직 투과 약물전달시스템’에 다이치산쿄의 유전자 후보물질을 접목해 신약 개발을 진행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동사는 다이치산쿄에서 보내온 후보물질 유전자를 기반으로 이미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으며, NIPEP-TPP에 다이치산쿄의 후보물질을 접합해 안정성과 세포 투과 등 시험관 실험(in-vitro) 단계의 검증이 진행될 것으로 전해짐.

■한컴그룹주 : 싸이월드제트, 싸이월드-한컴타운 통합 앱 8일 앱 심사 신청 예정 소식 등에 급등.

▷싸이월드제트는 언론을 통해 한글과컴퓨터와 메타버스 '싸이월드 한컴타운' 연동 개발 작업을 진행중이라고 밝힘. 싸이월드제트는 "현재 싸이월드에 싸이월드 한컴타운의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붙이고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며 "싸이월드 미니미가 미니룸을 열면 싸이월드 한컴타운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시험이 6일 완료된다"고 언급.

▷또한, 해당 시험을 마치면 싸이월드와 한컴타운을 통합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만들어 오는 8일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원스토어 등에 앱 심사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에 싸이월드제트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메타버스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글과컴퓨터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아울러 한컴MDS, 한컴위드 등 한컴그룹주도 동반 상승세를 기록중임.

[종목] : 한글과컴퓨터, 한컴위드, 한컴MDS

■썸에이지(208640) : '데카론' IP 활용 P2E 게임 개발 및 위믹스 플랫폼 합류 소식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인기게임 '데카론'의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해 블록체인 기반 P2E 게임을 개발하고, 해당 게임이 위믹스 생태계에 합류할 것으로 알려짐. 동사와 위메이드가 "데카론 IP 기반의 P2E게임을 만들고, 해당 게임이 위믹스 플랫폼에 합류하는 내용의 계약을 양사가 체결하고 공식 발표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해지고 있음.

▷한편, 위메이드 관계자는 "해당 사업제휴와 관련해 확인해 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유니셈(036200) : ESG 활동 강화 및 비메모리 설비 투자에 따른 수혜 전망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은 2,938억 원으로 추정한다며, 이는 국내 비메모리 파운드리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늘어났고, 국내 반도체 고객사의 ESG 활동 강화 영향으로 스크러버의 적용처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 이어 웨이퍼 단위 설비투자당 반도체 장비 수주가 늘어난다는 점과 스크러버의 적용처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점을 미뤄보았을 때, 내년 사상 최초로 연간 기준 3,0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국내에서 비메모리 파운드리 투자 규모가 과거 대비 늘어났고, 동사가 일부 공정 대체에 성공하며 종전 대비 메모리 설비 투자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낮아지는 한편 비메모리 설비 투자에 대한 노출도가 커지고 있다며, 비메모리 반도체용 장비의 매출 기여도는 올해 기준 10% 후반으로 추정되고 내년에는 20%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어 메모리 반도체 설비 투자에 의존하던 매출 구조가 전방 산업의 ESG 활동 강화 및 비메모리 설비 투자에 따라 수혜를 입고 있어 내년에도 이러한 모습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에이치엘비파워(043220) : 150억원 규모 사모 CB발행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메리츠증권(주) 대상 15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651원, 전환청구일:2022-12-17 ~ 2024-12-16) 공시.

■휴먼엔(032860) : 25.52억원 규모 국내 해상고철 납품 계약 체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주)태민철강과 25.5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0.08%) 규모 공급계약(국내 해상고철 납품 계약) 체결(계약기간:2021-11-29~2021-12-12) 공시.

■핌스(347770) : 중국의 OLED 굴기 관련 실적 전개 전망에 상승.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3Q21 누적 매출액 500억원, 영업이익 74억원을 달성했는데 이는 20년 연간 매출액 405억원, 영업이익 41억원을 훌쩍 상회한 것이라며, 향후 중국의 OLED 굴기와 연관되어 실적은 전개될 것이라고 밝힘.

▷중국 고객사내 동사의 시장지배력은 매우 높고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어 중국 OLED 물량 증가는 동사의 실적 개선과 직결될 수 있다며, 최대 고객인 BOE의 2024년까지 중소형 OLED 캐파 연평균 증가율은 22%, 중국 4대 디스플레이 업체의 증가율은 32%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

■소프트캠프(258790) : 10.3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49%)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조달청과 10.3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49%) 규모 공급계약(정부원격근무시스템 문서보안 SW구매) 체결(계약기간:2021-11-30~2022-01-29) 공시.

■삼영엠텍(054540) : 51.53억원 규모 PDH용 밸브소재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KEIKA CO., LTD.와 51.5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58%) 규모 공급계약(PDH용 밸브소재) 체결(계약기간:2021-12-01~2023-12-05) 공시.

■하나기술(299030) : 196.9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2.37%)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196.9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2.37%) 규모 공급계약(원통형 전지 조립 양산 턴키장비) 체결(계약기간:2021-11-30~2022-11-21) 공시.

728x90

반응형

from http://stockmakemoney.tistory.com/73 by ccl(A) rewrite - 2021-12-01 17:02:30